안녕하세요!
ARTIST
정보수정요청
오승우
Oh Seung u
회화     |     대한민국
학력
1950 조선대학교 국문과 입학 1957 조선대학교 예술과 졸업 2000 원광대 명예철학박사 수여
이력
1955 제4회 국전 입선 1956 제5회 국전 입선 1957 제6회 국전 특선 및 입선 1957 광주여자고등학교 미술교사 부임 1958 제7회 국전 특선 및 무감사 1959 제8회 국전 특선 및 무감사 1960 제9회 국전 특선 1961 제10회 국전 추천작가 1962 제11회 국전 출품 1962 서울 배화여고 미술교사 부임 1963 제12회 국전 출품 1964 제13회 국전 출품 1965 제14회 국전 출품 1965∼74 경희대, 서라벌예술대, 홍익대, 중앙대 미술과 출강 1969 국전 초대작가 1971 제20회 국전 출품 1972 제21회 국전 출품 1972 파월 한국군 사령부 초청 월남 방문 1973 제22회 국전 출품 1974 제23회 국전 심사위원 1974 도불(1974. 12∼75. 12) 1976 제25회 국전 심사위원 1976 오승우 구라파 풍경집 출간 1977 제26회 국전 심사위원 1977 경주 통일전 벽화 제작 1978 충청남도 도전 심사위원장 1978 제27회 국전 출품 1979 제28회 국전 심사위원 1980 제29회 국전 출품 1982 아프리카 풍물화문집 출간 1983 목우회 회장으로 추대 1985 제21회 경기미술대전 심사위원장 1985 국립현대미술관에 오지호 유작 34점 가족 명의로 기증 1986 제5회 미술대전 심사위원 1986 파푸아 뉴기니 여행 1987 제6회 미술대전 운영위원 1988 한국미술협회 고문 추대 1990 6회 무등미술대전 심사위원장 1990 중국여행 1991 스페인 포르투칼 여행 1992 남미 잉카 마야 문명 답사 1993 대한민국 예술원 회원으로 선출 1993 남미풍물집 출간 1993 목우회 고문으로 추대 1994 제13회 대한민국 미술대전 심사위원 1994 제31회 사단법인 목우회 공모 미술대전 심사위원장 1996 4월 고적작품 제작 차 1년간 북경 체류 1998 서울시 미술장식심의의원 1998 고적작품 제작 차 일본, 태국 여행 1999 고적작품 제작 차 미얀마, 라오스, 캄보디아 여행 1999 적 답사 차 베트남 여행 1999 국립현대미술관 운영 자문위원 2000 대한민국미술대전 심사위원장 2000 제36회 전라남도전 심사위원장 2000 고적 답사 차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터키 여행 2001 고적 답사 차 부탄 여행 2001 대한민국 예술원 분과 위원장 2001 『오승우 동양의 원형』 화집 출간 2002 대한민국 미술대전 운영위원장 2003 단원미술대전 심사위원장 2008 『오승우 십장생도』 화집 출간 현재 대한민국 예술원 회원, 사단법인 목우회 고문 한국미술협회 고문, 환경운동연합중앙회 지도위원 한중문화협회 상임 고문 1961 제1회 개인전, 광주 YMCA화랑 1962 제2회 개인전, 광주 양지다방 1965 제7회 개인전, 신문회관 1970 제8회 개인전, 신문회관 1982 아프리카 풍물초대전, 선화랑 1995 100산 전, 예술의전당 2001 동양의 원형 초대전, 예술원 2003 단원미술대전 2008 십장생도전, 예술의전당 1962 목우회 회원전, 공보관 화랑 1967 민족기록화 전시회(6. 25편), 경복궁 미술관 1970 월남전기록화 전시회, 국립현대미술관 1974 민족기록화 전시회(경제편), 국립현대미술관 1975 민족기록화 전시회(전승편), 국립현대미술관 1976 민족기록화 진시회(구국위업편), 국립현대미술관 1981 목우회 회원전, 문화회관 1981 한국미술81전, 국립현대미술관 1983 목우회 회원전, 국립현대미술관 1984 84현대미술초대전, 국립현대미술관 1985 한국현대미술의 어제와 오늘(과천 국립현대미술관 준공 기념), 국립현대미술관 1987 목우회와 일본국 북해도 미술교류전, 국립현대미술관 1987 87현대미술초대전, 국립현대미술관 1990 목우회와 중국 길림성 화원 교류전, 서울시립미술관 1996 제18회 예술원 미술전 1998 오승우 종함 2인 스케치 초대전, 갤러리 상 2004 대한민국 예술원 개원 50주년 기념 미술전 2005 중, 한 현대미술전, 중국 심천 하향이미술관 그 외 다수
수상경력
1972 5.16 민족상 서양화 부문 작품상 수상 1990 서울시 문화상 수상 1992 대한민국 옥관문화훈장 서훈 1995 대한민국예술원상 수상 1997 성욱문화대상 수상 1998 대한민국문화예술상 수상 2006 5.16 민족상 수상 2011 대한민국 은관문화훈장 서훈
더 보기
작품
전시

7월 치악산

227 x 182 cm , 1991

BANARAS GANGA江邊(강변)의 古建築(고건축)

145.5 x 112.1 cm , 1998

古刹(고찰)<네팔>

145.5 x 112.1 cm , 1998

건청문(자금성)

145 x 112 cm , 1996

갠지스강변의 고건축군

145 x 112 cm , 1998

肝月山(간월산)

162 x 130 cm , 1991

가족 家族

91 x 116.7 cm , 1960

伽倻山(가야산)

162 x 112 cm , 1985

고후구寺(사)<일본나라>

145.5 x 112.1 cm , 1998

祈年殿(기년전)

130 x 130 cm , 1996

金剛戒壇(금강계단) <통도사>

130.3 x 97 cm , 1965

廣德山(광덕산)

117 x 91 cm , 1984

內藏山(내장산)

194 x 130 cm , 1983

頭輪山(두륜산)

162 x 130 cm , 1990

도봉산의 전설

14.5 x 112.1 cm , 1984

大野山(대야산)

130 x 97 cm , 1994

랭구운(미안마)에서 본 寺院(사원)

130.3 x 97 cm , 1999

매지장래이 이사크사원(울란바트로 몽고)

145.5 x 112.1 cm , 1998

萬福閣(만복각)

130 x 130 cm , 1997

馬耳山(마이산)

162 x 130 cm , 1987

몽고宮庭(궁정)

1996

무등산

145.5 x 112.1 cm , 1983

彌勒山(미륵산)

116 x 91 cm , 1994

박물관과 주청사(부탄)

130 x 130 cm , 2001

밀어(蜜語)

80.3 x 65.2 cm , 1960

民俗(민속)놀이鬪牛(투우)

116.8 x 91 cm , 1994

白頭山(백두산) Ⅰ

259 x 182 cm , 1991

飛鷄山(비계산)

227 x 181 cm , 1992

佛岩山(불암산)

194 x 130 cm , 1991

普零寺(보령사)

130 x 130 cm , 1997

雪嶽山(설악산)

162 x 130 cm , 1983

水藥山(수약산)

162 x 130 cm , 1991

修道山(수도산)

130 x 97 cm , 1993

宋都御街(송도어가)

130.3 x 97.0 cm , 1997

백설이 덮인..

캔버스에 유채

1992

잉카의 후예

캔버스에 유채

1992

미륵산

캔버스에 유채

116 x 91 cm , 1994

쿠스코의 고가

캔버스에 유채

1992